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바이오 테마주에서 2019년 기준으로 임상 예정이었던 종목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지금 2020년 3월 25일이기 때문에 임상이 완료된 기업들도 섞여 있겠지요.

 

메지온: 2019년 3월에 희귀질환치료제 '유데나필' 임상 3상 결과 발표 예정. --> 2019년 11월쯤인가에 학회 발표를 통해 결과 발표가 나왔으며 1차지표 실패 2차지표 충족으로 NDA 접수를 할 예정에 있습니다.

PDE-5 Inhibitor 계열 약물 유데나필(Udenafil)의 권리를 보유, 유데나필은 단심실 환자에게 시행되는 폰탄(Fontan)수술 후 치료용도로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 임상 3상이 종료된 상태.

 

메지온의 경우 작년에 말이 참 많았던 기업중에 하나인데요. 이 종목은 제가 좀 조사를 한 관계로 작년 학회 발표때 임상결과 기대감에 엄청나게 다들 부풀어 있다가 예상하지 못한 결과로 인하여 주가는 그 이후 충격에서 복구가 안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최근에는 또 NDA 접수가 지연될 것 같은 박회장의 인터뷰 때문에 기존 주주들은 실망하여 나올 분들은 왠만큼 다 나온 상태로 보입니다. 그래서 주가 또한 2차 하락을 맞아버렸고요.

 

NDA 접수는 정상적으로 진행이 될 것으로 예상하므로 회사가 변한 것은 없을 것인데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때문에 미국 FDA에서의 NDA 리뷰 일정이 지연될 것 같기도 하고, 이번 바이러스 사태로 인하여 미국에서 의료시스템에 대한 반발도 있을 듯 하여 약가 산정 같은 부분들도 어떻게 될 지 좀 우려감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내년에 어떻게 될런지 기대되는 종목입니다.

 

제넥신: 자궁경부암 치료제 임상 2상 2단계 진입 소식에 상승 
2019/07/02

2019년 11월 면역항암제 '하이루킨-7' 임상 1b상 결과 데이터 발표 예정. 상반기에 하이루킨을 투여한 고형암 임상 1b상 결과 발표 예정.

미국 관계사 네오이뮤텍(Neoimmunetech)과 함께 암과 싸우는 면역세포인 T세포의 증식과 활성을 돕는 '하이루킨-7' 공동 개발 중

예정됐던 암학회 코로나19로 취소되면서 제약, 바이오 관련주 하락
2020/03/11

이 종목도 강성주주들이 꽤 많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최근 암학회 일정 취소로 인해 급락한 상태입니다. 이 회사는 파이프라인이 꽤 많은 것으로 보여서 기업 공부하기에 분량이 상당할 것 같습니다.

 

에이치엘비: 리보세라닙 1차 OS 목표치 미달 여파 지속 등에 하한가
2019/07/01

작년에 투자를 하신분이라면 이 종목을 모르는 분들은 안 계실 것 같습니다. 7월 1일 하락 후 바이오 투자는 임상실패 이후 투자자들이 전부 매도한 이후에 들어오라는 새로운 바이오 투자법을 탄생시킨 종목이기도 하지요. ㅎㅎ

워낙에 오버슈팅이 강했던만큼 현재 고점 대비로는 60% 가량 하락한 상태이네요. 워낙에 대표가 주가 부양의지도 강하고 유튜브를 통해서 주주들과 소통하는등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 향후 어떻게 될지 관심있는 기업이기도 합니다.

 

헬릭스미스: 2019년 3분기에 'VM-202' 3상 결과 발표 예정. 2019년 7~8월에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제 3상 중간 데이터 발표 예정. --> 결과 발표 후 급락하여 전혀 시장의 신뢰를 못 얻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 종목은 이제 더이상 가망이 없는 것일까요. 아니면 가망이 있다면 지금 진입하면 에이치엘비처럼 영광을 안겨줄까요. 헬릭스미스는 강성주주들 또한 엄청 많았던 종목으로 알고 있는데요. 지금은 거의 회사 대표는 사기꾼 취급을 당하는 것 같습니다. 시장의 신뢰를 완전히 잃어버린 듯 합니다. 주가도 그것을 반영하고 있고요.

 

한올바이오파마: 2019년 4분기에 안구건조증치료제 'HL036' 임상 3상 탑라인 데이터 결과 발표 예정. --> 이것도 발표 이후 부정적인 결과로 인해 급락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월 21일 저 장대음봉이 아마 결과 발표 후 급락한 상태였을 것입니다. 작년에 워낙 바이오쪽에 안좋은 일들이 많았어서 한올바이오파마의 경우도 데이터 발표 이후 그냥 패대기 쳐진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신라젠:

이 종목에는 너무 많은 주주분들이 고통을 받고 계실 것이기 때문에 차트를 보며 항상 조심하자는 경각심을 갖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고점대비 93%나 하락한 상태네요. 이정도면 그냥 주주분들은 상폐와도 별다른 차이가 없을 것 같습니다.

 

지트리비앤티: 2019년 초 미국의 안과전문 임상수탁기관(CRO)인 ORA와 안구건조증 치료제 3차 임상 3상을 위한 ARISE-3 계약을 체결할 예정.

100억 규모 CB 발행 결정에 자금확보에 따른 상승세
2019/11/01

이 기업은 임상결과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됐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 테마로 엮여 상승한 부분도 있고, 유양디앤유라는 기업에서 지트리비앤티 주식을 팔면서 급락한 종목으로 알고 있습니다. 급락때 잡으신분들은 복받으셨네요.

 

SK케미칼: 2019년 1분기에 폐렴구균 백신 글로벌 1상 진입 예정

sk케미칼 치매치료패치 fda 시판허가 획득소식영향
2019/11/27

치매치료패치 FDA 시판 허가 획득으로 급등후 자리를 지켜주고 있는 상태입니다.

 

동아에스티: 2019년 3분기에 당뇨병치료제 'DA-1241' 임상 1상 완료 예정
국내8위 제약사. 2018년 미국 뉴로보 파마슈티컬스에 알츠하이머성 치매치료제 후보물질인 'DA-9803' 기술수출

이름은 자주 들어봤는데 사실 기업에 대한 공부가 안되어 있어 모르겠습니다.

 

큐리언트: 2019년에 다제내성 결핵 치료제 'telacebec' 임상 2상 예정.

한국 파스퇴르연구소에서 분사해 설립된 의약품 연구개발 업체. 약제내성 결핵 치료제,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 항암면역/내성암 치료제를 개발 중. 면역항암제인 Q701 Q702의 경우 단독 투여에도 효과를 보여 주목받음

다재내성 결핵치료제 Q203 희귀의약품, 패스트트랙 지정 받음.

일반바이오벤처와 다른 사업모델이다. 우리는 파스퇴르나 정상급 연구기관과 프로젝 매니지먼트 한다.
고유 모델 네트웍 알앤디
국제적으로 공인된 프로젝트 매니저로 구성된 혁신신약 개발 R&D 전문가 집단 
1. Q301 -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 2. Q203 - 약제내성 결핵 치료제 3. Q701 - 항암면역/내성암 치료제 
아토피: 선진국 비중이 크다. 깨끗한 환경에서 더 발생
결핵: 글로벌 6백만명 발생, 국내 4~5만. 다제내성 결핵 환자의 경우에는 기존 항생제가 전혀 듣지 않는다. 48만명
내성암: 기존의 항암제가 듣지 않는 암
Network R&D: 바이오벤처 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프로젝트매니지먼트 기반의 오픈이노베이션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 등 신약개발 기대감에 소폭 상승
2019/08/23

아토피 피부염 관련하여 상승한 것인지 상승 이유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네요. 바이오쪽도 종목수도 엄청 많고 전문 지식을 쌓아야 하는 분야라 일반인들이 무턱대고 그냥 기대감에 투자할만한 분야는 절대 아닌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임상 관련한 재료들이 있는, 또는 있었던 기업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Recent posts